맨위로가기

쓰가루 노부마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가루 노부마사는 1646년에 태어나 1656년 히로사키 번의 4대 번주가 된 인물이다. 그는 학문과 병학을 익혔으며, 재임 기간 동안 개간, 치수 사업, 조카마치 확대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여 번의 발전에 기여했다. 쓰가루 후지미 호수를 건설하고, 문화 발전을 위해 인재를 초빙하는 등 긍정적인 업적을 남겼지만, 만년에는 가라스야마 번 상속 문제, 대기근, 아코 사건 관련 실책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1710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차남 쓰가루 노부히사가 가문을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10년 사망 - 히가시야마 천황
    히가시야마 천황은 레이겐 천황의 아들로 1687년부터 1709년까지 재위하며 겐로쿠 문화의 전성기와 조정과 막부의 원만한 관계, 황실 재정 안정 등 안정적인 시기를 보낸 후 천연두로 사망했다.
  • 1710년 사망 - 올레 뢰머
    올레 뢰머는 빛의 속도가 유한함을 입증한 덴마크의 천문학자이자 코펜하겐 시장으로, 도량형 시스템 도입, 그레고리력 도입 건의, 온도계 개발, 도시 환경 개선 등 사회 다양한 분야에 기여했다.
  • 히로사키번주 - 쓰가루 노부요시
    쓰가루 노부요시는 에도 시대 초 히로사키 번의 2대 번주로, 번 내 소동을 겪으면서 경제 발전과 문화 진흥에 힘썼으나, 고집 세고 거친 성격으로 '조팟파리 영주'라는 평을 받았다.
  • 히로사키번주 - 쓰가루 노부유키
    쓰가루 노부유키는 히로사키 번의 10대 번주로, 방탕한 생활과 무능함으로 번의 재정을 악화시켜 막부로부터 강제 은거 명령을 받았으며, 요타카노도노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 1646년 출생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독일의 철학자, 수학자, 과학자, 외교관, 법학자, 도서관학자이자 언어학자로, 합리주의 철학을 대표하며 모나드론과 예정조화설을 주장했고, 미적분학을 독자적으로 발견하고 이진법을 체계화하는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기여했다.
  • 1646년 출생 - 앙투안 갈랑
    프랑스의 동양학자이자 고고학자인 앙투안 갈랑은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히브리어와 아랍어를 배우고 중동 지역을 탐험하며 여러 언어를 익혔으며, 왕립 도서관에서 동양어 사본 목록 작성에 참여하고 『동방 도서관』 집필을 완성했을 뿐만 아니라 『천일야화』를 최초로 프랑스어 및 유럽어로 번역하여 유럽 전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
쓰가루 노부마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쓰가루 노부마사
쓰가루 노부마사
이름쓰가루 노부마사 (津軽信政)
시대에도 시대 전기 - 중기
출생1646년 8월 28일
사망1710년 12월 8일
어린 시절 이름헤이조 (平蔵)
다른 이름요세이켄 (養正軒), 세이죠도 (清如堂)
계명묘신인덴 타이준 신카쿠 다이코지 (妙心院殿泰潤真覚大居士)
묘소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의 고쇼 신사
도쿄도 분쿄구 혼코마고메의 남곡사 (메아카 부동산) 오륜탑
관위종5위하 엣추노카미 증 종3위
막부에도 막부
주군도쿠가와 이에쓰나 → 쓰나요시 → 이에노부
무쓰 히로사키번 번주
씨족쓰가루 씨
가족 관계
아버지쓰가루 노부요시
어머니가라우시 진에몬 딸, 규쇼인
형제자매노부마사
노부쓰네
노부아키라
마사토모
다메사다
다메하루
가소쿠
스케오키
마사히
마사요리
다메나가

이쓰
야에
미요
이요
이토히메 외 25남 26녀
배우자정실: 마시야마 마사토시 딸, 후우히메
마쓰가오인
측실히라 모리마사 딸, 후코인
아카우치 리헤이 딸, 에이쇼인
고오리 무네히데의 사촌 외 3명
자녀장남
노부히사
나스 스케노리
사남
히사요
슌다이인
도미
여자 2명
경력
직업히로사키번 다이묘 (1656–1710)
계승자쓰가루 노부히사

2. 출생과 유소년기

1646년(쇼호 3년) 7월 18일, 히로사키성에서 3대 번주 쓰가루 노부요시의 맏아들로 태어났다.[1] 1655년 (메이레키 원년)에 아버지가 사망하여 1656년 (메이레키 2년) 2월 2일에 가독을 상속받았다.[1] 그러나 어린 나이였기 때문에 숙부인 하타모토 (구로이시령 주) 쓰가루 노부히데가 보좌하였다.[1]

어려서부터 총명했던 노부마사는 1661년 (간분 원년) 15세 때 야마가 소코에게서 유학과 병학을 배웠고, 야마가류 병법의 옥전·다이세이덴을 허락받아 번의 병학을 야마가류로 통일했다.[1] 1671년 (간분 11년) 26세 때 깃카와 고레아시에게서 신토를 배웠다.[1] 1695년 (겐로쿠 8년)에는 "고쇼 레이샤"의 영사호(신호)를 수여받고, 최고 옥비의 사중 옥비 "히모로기 이와사카노 다이지"를 허락받았다.[2]

3. 명군으로서의 치적

쓰가루 노부마사는 에도 시대 전기의 명군이자, 히로사키번을 중흥시킨 뛰어난 군주였다. 그는 직접 정치를 할 수 있게 되자 여러 정책을 추진했고, 노모토 도겐(野本道玄일본어)을 초빙하여 산업 육성을 꾀했다. 번정 확립과 번 발전에 힘쓰면서도 백성들에게 선정을 베풀어 번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야마가 소코에게서 유학과 병학을 배웠고, 깃카와 고레아시에게서 깃카와 신도를 사사받았다. 도요다 마사카즈나 시부에 도리쿠 등 40명에 달하는 문화인을 전국에서 초빙하여 번의 문화 발전에 힘썼다.

대외적으로는 간분 9년(1669년) 샤쿠샤인의 봉기 진압[3], 덴와 3년(1683년) 닛코산궁 부역 등에서 공적을 올렸다.

그러나 만년에는 조쿄 4년(1687년) 시모쓰케국가라스야마번 주 나스 스케노리(노부마사의 셋째 아들)의 상속 문제 등 어려움도 있었다.

3. 1. 경제 정책

쓰가루 노부마사는 에도 시대 전기의 명군이자, 히로사키번을 중흥시킨 뛰어난 군주로 알려져 있다. 직접 정치를 할 수 있게 되자, 개간, 치수, 산림 제도의 정비, 식수 사업, 토지 조사, 가신들의 교외 이주를 통한 조카마치 확대 등의 정책을 추진했다. 또한, 노모토 도겐(野本道玄일본어)을 초빙하여 양잠, 직물, 제사(製絲)업의 육성을 꾀했다. 이처럼 번정 확립과 번 발전에 힘쓰면서도 백성들에게 선정을 베풀어 번의 전성기를 불러왔다.[1]

만지 3년(1660년)에는 니시쓰가루의 신전 개간의 관개 용수원으로서 쓰가루 후지미 호수를 축조했는데, 이는 현존하며 제방의 길이는 연장 4.2킬로미터로 일본 국내의 저수지· 중에서 일본 최대의 길이를 자랑한다.

그러나 겐로쿠 8년(1695년), 번내를 덮친 대기근으로 3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내는 등, 번정에도 어려움이 보이기 시작했다.

3. 2. 도시 정비

쓰가루 노부마사는 번정을 직접 맡게 되면서 쓰가루 신전 개발, 치수 공사, 산림 제도 정비, 식림, 검지, 가신단의 교외 이주를 통한 조카마치 확대 등에 힘썼다. 노모토 도겐을 초빙하여 양잠, 직물, 제사, 지바(종이 뜨기)의 발전과 육성에도 힘썼다. 민정에서도 선정을 펼쳐 히로사키번의 번정 확립과 발전에 진력하여 번의 전성기를 구축하였다.[1]

만지 3년(1660년)에는 니시쓰가루 신전 개간의 관개 용수원으로서 쓰가루 후지미 호수를 축조했다. 이 호수의 제방 길이는 4.2km로, 현존하는 일본 국내의 저수지· 중에서 일본 최대 길이다.[1]

3. 3. 문화 발전

쓰가루 노부마사는 에도 시대 전기의 명군이자, 히로사키번을 중흥시킨 뛰어난 군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직접 정치를 할 수 있게 되자, 개간, 치수, 산림 제도의 정비, 식수 사업, 토지 조사, 가신들의 교외 이주를 통한 조카마치 확대 등의 정책을 추진했다. 또한, 노모토 도겐(野本道玄일본어)을 초빙하여 양잠, 직물, 제지 사업 육성을 꾀했다.[1] 이처럼 번의 발전과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치면서도, 문화 발전에도 힘을 기울였다.

노부마사는 야마가 소코에게서 유학과 병학을 배웠고, 깃카와 고레아시에게서 깃카와 신도를 사사받았다.[1] 겐로쿠 8년(1695년)에는 "고쇼 레이샤"의 영사호(신호)를 수여받고, 최고 옥비의 사중 옥비 "히모로기 이와사카노 다이지"를 허락받았다.[2] 도요다 마사카즈나 시부에 도리쿠 등 40명에 달하는 문화인을 전국에서 초빙하여 번의 문화 발전에 힘썼다.[1] 대외적으로는 샤쿠샤인 전쟁(1669년)에 참전하고, 닛코 산궁(日光山宮일본어) 건설(1683년)의 건설 관리자로 일하기도 했다.

3. 4. 대외 활동

노부마사는 에도 시대 전기의 명군이자, 히로사키번을 중흥한 영민한 군주로 알려져 있다. 대외적으로 1669년 샤쿠샤인 전쟁에 참전하고, 1683년 닛코 산궁(日光山宮일본어) 건설 관리자로 일하기도 했다.[3]

그의 군대는 1669년 일본 통치에 반대하는 아이누 봉기인 샤쿠샤인의 난을 진압하기 위해 도쿠가와 막부에 의해 에조로 소환되었고, 1683년 쇼군의 닛코 순례에서 의전 담당이었다.

조쿄 4년(1687년), 시모쓰케국 가라스야마번 주 나스 스케노리(노부마사의 셋째 아들)의 상속 문제로 가라스야마번 나스가 개역이라는 오이에 소동에 휘말려, 막부로부터 질책을 받았다.

겐로쿠 16년(1703년), 번은 이른바 아코 낭사의 계획에 관해, 이것을 원조하는 가신의 행동을 간과하여, 막부에서 책임을 추궁당할 수도 있는 실태를 일으켰다.[4][5]

4. 만년의 시련

1687년 가라스야마 번 번주 나스 스케노리의 상속 문제에 관여하여 물의를 빚었고, 1695년에는 번에 대기근이 들어 3만 명 이상이 사망하는 등 번 통치에 심각한 위기가 닥쳤다.[1] 1703년에는 아코 번의 옛 아코 낭사 처리 문제로 실책을 범했고,[4][5] 노부마사 자신이 치매 증상을 보이면서 번정은 더욱 어려워졌다. 결국 1710년 65세의 나이로 히로사키 번에서 사망했고, 가독은 차남 쓰가루 노부히사가 계승하였다.

4. 1. 가라스야마 번 상속 문제

1687년, 가라스야마 번의 번주 나스 스케노리(那須資徳일본어)의 상속 문제에 관여하여 물의를 빚었다. 나스 스케노리는 원래 노부마사의 셋째 아들 쓰가루 마사나오(津軽政直일본어)로, 1683년 윤5월 1일에 나스 스케미쓰의 양자가 되었다. 스케미쓰가 1687년 8월에 사망하면서 스케노리가 그 뒤를 이어 번주가 되었다. 하지만 스케미쓰는 스케노리를 양자로 삼을 때 둘째 아들 후쿠하라 스케히로(福原資寛일본어)가 있음을 숨겼고, 이는 스케노리가 번주가 된 다음 스케히로와 그 생모가 가독 승계의 부당함을 호소함으로써 드러났다. '가라스야마 소동(烏山騒動일본어)'이라 불리는 이 사건으로 인해 스케노리는 1687년 10월에 영지를 박탈당하여 노부마사에게 돌아왔고, 노부마사는 막부로부터 질책을 받게 되었다.[1]

4. 2. 대기근과 번정 위기

1687년, 가라스야마 번의 번주 나스 스케노리의 상속 문제에 관여하여 물의를 빚었다. 나스 스케노리는 원래 노부마사의 셋째 아들 쓰가루 마사나오로, 1683년 윤5월 1일에 나스 스케미쓰의 양자가 되었다. 스케미쓰가 1687년 8월에 사망하면서 스케노리가 그 뒤를 이어 번주가 되었으나, 스케미쓰는 스케노리를 양자로 삼을 때 둘째 아들 후쿠하라 스케히로가 있음을 숨겼다. 이는 스케노리가 번주가 된 다음 스케히로와 그 생모가 가독 승계의 부당함을 호소함으로써 드러났다. '가라스야마 소동'이라 불리는 이 사건으로 인해 스케노리는 1687년 10월에 영지를 박탈당하여 노부마사에게 돌아왔고, 노부마사는 막부로부터 질책을 받게 되었다.[1] 1695년에는 번에 대기근이 들어 3만 명 이상이 사망하였고, 번 통치에 심각한 위기가 닥치기 시작하였다.[1] 1703년에는 아코 번의 옛 아코 낭사들의 처리 문제로 실책을 범하였다.[4][5] 게다가 노부마사가 점차 치매 증상을 보이기 시작해, 번정은 더욱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4. 3. 아코 사건 관련 실책

1703년 아코 사건 당시 아코번의 옛 아사노 번사들을 지원하는 가신들의 행동을 간과하여 막부로부터 문책받을 위기에 처했다.[4][5] 야마가 소코의 아들 야마가 마사자네에게서 야마가류 병법을 배우고 아코 낭인들에게 비판적이었던 쓰가루 노부마사의 후견인 구로이시번[6] 노부히데의 후계[7]와 가신들이 노력하여 쓰가루 번은 연루되지 않았다. 쓰가루 가문의 오이시 일족은 이 사건을 쓰가루 번 가문에 알려, 번 내에서 우대받던 야마가계 가신들과 대립했고[8], 쓰가루 노부아키라의 잔당에 합류한 일파도 있었다.[9][10][11]

4. 4. 건강 악화와 사망

1687년 가라스야마 번의 번주 나스 스케노리의 상속 문제에 관여하여 물의를 빚었다. 나스 스케노리는 원래 노부마사의 셋째 아들 쓰가루 마사나오로, 1683년 윤5월 1일에 나스 스케미쓰의 양자가 되었다. 스케미쓰가 1687년 8월에 사망하면서 스케노리가 그 뒤를 이어 번주가 되었지만, 스케미쓰는 스케노리를 양자로 삼을 때 둘째 아들 후쿠하라 스케히로가 있음을 숨겼다. 이는 스케노리가 번주가 된 다음 스케히로와 그 생모가 가독 승계의 부당함을 호소함으로써 드러났다. '가라스야마 소동'이라 불리는 이 사건으로 인해 스케노리는 1687년 10월에 영지를 박탈당하여 노부마사에게 돌아왔고, 노부마사는 막부로부터 질책을 받았다. 1695년에는 번에 대기근이 들어 3만 명 이상이 사망하였고, 번 통치에 심각한 위기가 닥치기 시작하였으며, 1703년에는 아코 번의 옛 아코 낭사들의 처리 문제로 실책을 범하였다.[4][5] 게다가 노부마사가 점차 치매 증상을 보이기 시작해, 번정은 더욱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결국 노부마사는 1710년 65세의 나이로 히로사키에서 사망하였다. 가독은 차남인 쓰가루 노부히사가 계승하였다.

5. 평가

쓰가루 노부마사는 히로사키 번의 3대 다이묘 쓰가루 노부요시의 장남으로 히로사키 성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사망 당시 9세의 어린 나이였기 때문에 숙부인 쓰가루 노부후사가 성년이 될 때까지 섭정을 했다. 학구적인 성향으로 에도에서 야마가 소코와 요시카와 고레타루에게서 공부했다. 히로사키에서 권력을 잡은 후 토목 공사를 시작하여 성곽 도시를 확장하고 임업을 발전시켰으며 새로운 을 개발하고, 홍수 방지, 양잠, 섬유, 비단 및 종이를 지역 수입원으로 개발했다. 1660년에는 관개용 쓰가루-후시미 호수를 만들기 위해 길이 4.2km의 댐 건설을 완료했는데, 당시 일본 최대 규모였다. 또한 히로사키의 문화 수준을 높이기 위해 40명이 넘는 문화 인사를 초청하여 정착하게 했다.

그의 군대는 1669년 일본 통치에 반대하는 아이누 봉기인 샤쿠샤인의 난을 진압하기 위해 도쿠가와 막부에 의해 에조로 소환되었고, 1683년 쇼군의 닛코 순례에서 의전 담당이었다.

그러나 만년에 들어서면서, 1695년에는 흉작으로 쓰가루 지역에 기근이 발생하여 히로사키 번에서 3만 명이 사망했다. 조쿄 4년(1687년)에는 시모쓰케국가라스야마번 주 나스 스케노리(노부마사의 셋째 아들)의 상속 문제로 가라스야마번 나스가 개역이라는 오이에 소동에 휘말려, 막부로부터 질책을 받았다. 겐로쿠 8년(1695년)에는 대기근으로 3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내는 등, 번정에도 어려움이 보이기 시작한다. 겐로쿠 16년(1703년)에는 아코 낭사의 계획에 관해, 이것을 원조하는 가신의 행동을 간과하여, 막부에서 책임을 추궁당할 수도 있는 실태를 일으켰다.[4][5]

5. 1. 긍정적 평가

쓰가루 노부마사는 히로사키번의 전성기를 이끈 명군이자, 히로사키번 중흥의 영주로 칭송받는다.[12] 그는 쓰가루 신전 개발, 치수 공사, 산림 제도 정비, 식림, 검지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여 번의 경제적 기반을 강화했다. 또한 가신단을 교외로 이주시켜 성하町(조카마치)을 확대하고, 노모토 도겐을 초빙하여 양잠, 직물, 제사, 지바(종이 뜨기) 산업을 육성하는 등 민생 안정에도 힘썼다.

특히 만지 3년(1660년)에 완공된 쓰가루 후지미 호수는 니시쓰가루 신전 개간에 필요한 관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거대한 저수지였다. 이 제방의 길이는 4.2km에 달해 당시 일본 최대 규모를 자랑했으며, 현재까지도 남아있다.

노부마사는 문화 발전에도 크게 기여했다. 도요다 마사카즈, 시부에 도리쿠 등 40명에 달하는 문화인을 전국에서 초빙하여 번의 문화적 수준을 향상시켰다. 야마가 소코에게서 유학과 병학을 배우고, 깃카와 고레아시에게서 깃카와 신도를 사사하는 등 본인 스스로도 학문에 정진했다.[1]

간분 9년(1669년)에는 샤쿠샤인의 봉기를 진압하고,[3] 덴와 3년(1683년)에는 닛코산궁 부역을 맡는 등 도쿠가와 막부에 대한 공헌도 인정받았다.

이러한 업적들을 바탕으로 노부마사는 에도 시대 전기의 명군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信政 / 新編弘前市史 / おくゆかしき津軽の古典籍 https://adeac.jp/hir[...] 弘前市立弘前図書館 2022-07-19
[2] 웹사이트 中臣祓 https://tsugaru-fudo[...] 津軽デジタル風土記 / 弘前大学教育学部内 2022-07-19
[3] 문서 石田三成의 직손의 杉山吉成
[4] 문서 元・赤穂藩士で大石良雄らと縁戚の津軽藩士大石無人
[5] 문서 赤穂藩浅野家の本家である広島藩浅野家
[6] 문서 当時は大名ではなく旗本
[7] 문서 津軽政兕は吉良義央の縁戚
[8] 문서 知行では大石氏を上回り、のち津軽姓を賜るものも出た。大石無人の次男の良穀は津軽家を出奔し、しかし芸州浅野家には仕えず讃岐国高松藩松平家に仕官している
[9] 문서 津軽家文書『弘前藩庁日記』
[10] 문서 半稲独言集「津軽兵庫の越境顛末」
[11] 문서 赤穂浪士事件後、津軽藩士の瀧川統伴
[12] 문서 高岡の森弘前藩歴史館「津軽信政の事績たどる企画展」資料(2019年9月28日)
[13] 웹사이트 高照神社の造営と「名君」信政像の創出 / 新編弘前市史 / おくゆかしき津軽の古典籍 https://adeac.jp/hir[...] 弘前市立弘前図書館 2022-07-19
[14] 웹사이트 高岡の森弘前藩歴史館(弘前市教育委員会) https://www.tohokuka[...] 旅東北 東北の観光旅行情報サイト 2020-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